반응형

 코로나 사태로 인해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는 대학이 대부분인 요즘, 1학기가 끝나가면서 대학교 등록금 반환에 대해 여기저기서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도서관도 못 가고, 수업도 가끔 연결이 끊기고... ‘이럴 거면 등록금 돌려줘야 되는 거 아냐?’ 싶은 분들 있을 텐데요.

 

학생들이 “학습권이 침해됐다”며 등록금을 돌려달라고 하자, 건국대가 대학교 등록금 반환을 일부 해주기로 했어요 

지금까지 대부분의 대학교들은 대학교 등록금 반환에 대해 ‘못 돌려준다’는 입장이었는데, 건대가 처음으로 ‘돌려주겠다’고 했기 때문에 다른 대학들도 더 눈치 보게 생긴 상황인데요.

 


학생들이 돌려달라고 하는 이유는 뭘까요 ?

첫 번째로 수업의 질이 떨어졌다 입니다. 한 학기 내내 온라인으로 수업한 곳도 많은데, 오프라인 강의보다 온라인 수업의 질이 떨어져 학습권을 침해당했다!라는 입장입니다.

두 번째로 시설 이용 못 했다 입니다. 도서관, 실험실 등 대학교 시설 이용도 안 했는데, 평소랑 똑같이 등록금 내는 게 맞아? 코로나19로 학교에 못 갔으니 등록금에 포함됐던 이용료 돌려줘! 라는 입장이죠.

 

 

대학교 등록금 반환에 대한 각 대학교는 어떤 입장일까요?

몇몇 학교는 10만~20만 원씩 나눠 주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등록금 돌려주는 건 어렵다’는 입장이었어요.

그 이유는 시설 관리비 같은 건 돈이 적게 들었더라도, 방역하랴, 온라인 수업 촬영부터 내보내기까지 준비하랴, 다른 데 돈이 많이 들었다며 대학교 등록금 반환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그럼 소송을 통해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어렵다고 보고 있어요 증명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죠.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이 다른 것은 맞지만, 수업의 질이 떨어졌다는 걸 학생이 증명해야 하는데 이를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어려워요.

법적으로 물어줄 책임이 없다고도 하는데요. 대학은 천재지변이나 수업을 안 한 경우에는 등록금을 돌려줘야 해요.

하지만 코로나19는 천재지변으로 인정되지 않았고, 온라인 수업도 계속해왔으니 돌려줄 책임이 없는 것이죠.

 

교육부는 입장은 어떨까요?

처음에는 “등록금에 대한 결정은 각 대학에 있다”며 선을 그었어요. 하지만 학생들이 계속 항의하자, 대학교들과 방법을 찾고 있다고 밝혔어요. 지금 얘기되고 있는 건 ‘대학혁신지원사업비’를 학생들에게 주는 건데요. 

정부는 ‘대학혁신지원사업비’라는 이름으로, 각 학교에 교육이나 연구 환경을 더 좋게 만드는 데 쓰라고 평균 50억 원씩 줬어요. 이 돈은 원래 정해진 용도로만 쓸 수 있고 학생에게 줄 수 없지만, 이 제한을 풀어 대학교들이 사업비를 학생들에게 등록금 대신 돌려주게 하는 건 어떨까 고민하는 것이죠.

 

또 교육부는 어제 대학교를 지원하는 다른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어요.

 

정세균 국무총리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불거진 대학 등록금 반환 요구에 대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죠.

3차 추가경정예산안에서는 대학교 등록금 반환을 직접 지원하는 예산이 포함되지 않았지만, 2학기 개학을 앞두고 등록금 반환 요구가 커지는 만큼 주무 부처인 교육부가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라는 취지에요.

앞서 교육부는대학교 등록금 반환을 위해 3차 추경에 1951억원의 예산을 편성한 바 있어요.

그러나 예산편성권을 쥐고있는 기획재정부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한편, 등록금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해 이번 추경안에는 포함되지 않았죠

. 정 총리가 등록금 직접 지원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보인만큼 교육부도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낼 예정입니다.

교육부는 우선 각 대학마다 재정 형편이 다른 만큼 재정 실태 파악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으니 좀 지켜봐야 할 것 같네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

많은 대학교가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방지를 위해 대학 개강 연기하고 있는데요.

전국의 대학생들은 개강이 연기되고 강의가 온라인으로 바뀌면서 등록금 반환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어요.

 

 

 

 

4·15 총선에서도 대학 등록금 인하·반환, 대학 개강 연기 문제가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코로나19로 대학의 개강이 연기되고 학사 일정이 단축되면서 등록금 인하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죠.

 

지난 2월 29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대학교 개강 연기에 따른 등록금 인하 건의' 청원엔 30일 현재 참여자가 13만 명이 넘은걸 보면 알 수 있죠.

 

대학생들과 학부모들은 등록금 인하 근거로 이번 사태로 수업 일수가 축소됐고, 국제교류프로그램, 새내기 교육 등 각종 프로그램과 행사가 취소된 점을 들고 있습니다.  또 평상시와 달리 도서관, 체육시설 등 각종 학교 시설을 이용할 수 없는 점, 수업 역시 인터넷 강의로 진행되면서 각종 실습과 실험이 진행되지 않는 점 등을 내세우고 있죠.

이처럼 등록금에 포함된 도서관 및 정보화 시설 운영비, 체육시설 운영비, 교육연구 및 학생지도비, 실험실습비 등 각종 예산이 지출 목적을 상실했지만, 교육부는 '대학의 자율 영역'이라며 개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요..부들부들!!

 

이에 경남권 총선 출마자들도 잇따라 대학 개강 연기로 인한 대학별 미사용 등록금 예산 반환과 경감 조치 등을 요구하고 나섰어요.

 

여영국(정의당·창원 성산) 후보는 30일 보도자료를 내고 "코로나 사태 속 교육부가 대학별 미사용 대학등록금 예산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반환이 이뤄지도록 조치해야 한다"며 "불합리한 요구가 아니다. 학교 구성원들에 대한 인건비나 인터넷 강의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반환하라는 것이 아니다. 공정한 기준에 따라 집행하지 않는 예산을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 정직하게 반환하라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여 후보는 이어 "교육부령인 '대학 등록금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천재지변 등으로 등록금의 납입이 곤란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등록금을 면제하거나 감액'할 수 있으며 '등록금이 잘못 납부된 경우에는 그 금액을 전액 반환'할 수 있는 근거가 있다"고 강조했고, 그러면서 "코로나19 사태로 전 국민이 전례 없던 일을 겪는 지금, 대학등록금 반환에 교육부가 직접 나서는 것은 대학에 대한 개입이 아니라 학생 학습권과 생존권을 지키는 의무다"고 언급했어요!

 

앞서 박완수(미래통합당·창원 의창) 후보도 지난 26일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 차원의 등록금 부담 경감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박완수 후보는 "정부는 최근 수십조 원의 국민세금이 드는 청년대책을 내놓으면서도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과 학부모의 고충에 대해서는 무심한 것 같다"면서 "교육부가 추가경정예산안을 통해 내놓은 대학 온라인강의 기반 구축 등의 정책으로는 현재 대학생들이 처한 고충을 직접적으로 해소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라고 말했어요.

 

또 "최근 대학생들이 대학 개강 연기 때문에 정상적인 수업이 이뤄지지 않은 점 등을 근거로 학교에 등록금 반환요구를 하고 있는데, 정부는 학교 총장의 권한이라며 먼 산 불구경 하듯 하고 있다"면서 "국공립대를 중심으로 1학기 등록금 재조정과 더불어 1, 2학기 등록금 납부 기한 연장과 분할납부 기간 연장 등을 검토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협의하고, 사립대와도 같은 맥락으로 협의에 착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밖에 "대학 측의 재정적 부담을 경감해줄 수 있는 정책적인 인센티브 등을 마련해서 자발적인 협조를 이끌어 내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죠.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19년 현재 경남에는 21개 대학에 재학생 11만 1845명이 있다고해요.

 

교육부는 등록금 재조정에 대해 '대학의 자율 영역'이라며 개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데 빨리 대학 개강 연기와 등록금 문제가 해결됐으면 좋겠어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