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룡점정
畵龍點睛
용을 그린 다음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린다는 뜻으로 가장 요긴한 부분을 마치어 일을 끝냄을 이르는 말.
나혼자산다에서
![](https://blog.kakaocdn.net/dn/V41kr/btqWNdV5xEb/bYrFMIP99fSDfqLGkknzU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M8Amt/btqWOgZlkXv/kVmrjTUeD7BQvzKkhlKvOk/img.jpg)
성훈이 몸무게를 찌우기 위해
계속 계속 음식을 먹고
![](https://blog.kakaocdn.net/dn/nAC8F/btqWNcv7iMG/YL9qBtOBZZYMNk3bzcvaA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OQCr/btqWGKHsSPS/JmkuzOQRzfN8Bb74PNxWh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ymtp/btqWNciAv0D/S4Lyx1CH3LNMU6I01KSaV1/img.jpg)
맨마지막에 라면으로 화룡점정을 찍었어요
멤버들이
근데 화룡점정이냐
화룡정점이냐
대체 뭐가 맞는거냐 하며
라면까지먹는것 정말 대단하다
화룡점정이다~
하며 넘어간 장면이 있었어요
畵 : 그림 화
龍 : 용 룡
點 : 점찍을 점
睛 : 눈동자 정
무슨 일을 할 때 최후의 중요한 부분을 마무리함으로써 그 일이 완성되는 것이며, 또한 일 자체가 돋보인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에요. (두산백과)
추가 이야기가 있어요
양나라의 장승요(張僧繇)가 금릉(金陵:南京)에 있는 안락사(安樂寺)에 용 두 마리를 그렸는데 눈동자를 그리지 않았다. 사람들이 이상히 생각하여 그 까닭을 묻자 “눈동자를 그리면 용이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말을 믿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용 한 마리에 눈동자를 그려 넣었다. 그러자 갑자기 천둥이 울리고 번개가 치며 용이 벽을 차고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눈동자를 그리지 않은 용은 그대로 남아 있었다. 한편 어떤 일이 총체적으로는 잘 되었는데 어딘가 한군데 부족한 점이 있을 때 ‘화룡에 점정이 빠졌다’고도 한다.
출처: 두산백과
화룡점정! 이 맞는 표현이니
앞으로 헷갈리지않고 화룡점정!!으로 써요
댓글 +
좋아요
구독으로
오늘의 글을 ‘화룡점정’할게요 (배운건 바로 활용하는 센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