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연말정산 목적/ 계산 구조 쉽게 이해하기 (완전 쉽게 정리)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어요!
연말정산은 대체 어떻게 해야하는건지?
어렵게만 느껴지실텐데요.
연말정산 간단하게 알아봐요!!
우선, 연말정산 왜 할까요?!
연말정산의 목적은 근로소득자가 1년동안 납부한 소득세와 실제 소득세를 비교해서 더 냈다면 환급, 적게 냈다면 더 내라고 추징! 하는 거에요.
● 계산 구조 쉽게 이해하기
예를 들면, A라는 사람이 일을 해서(근로소득) 한달에 백만원을 받기로 했다고 가정할게요. 세금 떼고 90만원을 실제 지급했어요. (내 통장에 90꽂힘)
그럼 10만이 세금(+4대보험) 으로 나갔어요.
10만원에 대해서 1년동안 120만원을 납부한 셈이겠죠.
그리고 연말정산때,
여러가지 공제 과정을 거쳐서 120만원이라는 세금이 이사람한테는 많이 징수가 되었다고 계산되면 환급이 되고 어라? 더 내야했는데 달마다 너무 적게 내고 있었네 추징!
이렇게 되는거에요.
그런데 그 많이냈네 적게 냈네의 기준이 아래 계산법입니다!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2020년 연말정산 자료입니다)
연간근로소득 - 비과세
100만원 x12 =1200만원을 연간근로소득이라 하면,
거기서 비과세는 뭐냐? 말그대로 非아닐비 +과세
세금을 낼 대상이 아닌 금액인거죠.
대표적인 항목인 월10만원 이하 식대로 설명해볼게요
A는 연 소득 1200만을 모두 근로소득 항목으로 세금을 매달 다 냈는데,
사실은 급여100만 중 (90급여+10만점심값) 항목으로 나눠져있던거죠. (대부분 회사가 이렇게 합니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100만원 받는 급여 중 10만원이 모두 근로소득으로 계산이 되는 것이 아닌 10만원은 빼줘야, 비과세로 계산을 해줘야하는거죠.
이와같은 비과세항목이 연말정산시 적용될 수 있습니다.
2020년 연말정산 목적과 계산 구조가 조금 이해되셨나요?
연말정산 계산구조를 알았으니 세부항목을 잘 챙겨서 생돈 버리는 일 없게 해요 모두
2020년 연말정산 목적과 계산 구조는 여기까지 설명드릴게요! 다음에 또 쉽고 유익한 정보로 돌아올게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부탁드려요 ^^♥
'금융 정보모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간소화 제출방법 초간단!! 5분 만에 끝내자 (0) | 2021.01.20 |
---|---|
나는 퇴사하고도 월 100만 원 더 모은다 (전업맘 1년 만에 연1500만 원 더 저축한 자산관리의 기술) 공유 (0) | 2021.01.17 |
정용진 증여세 2962억! 증여세 계산법, 면제한도 알기/증여세 얼마? (0) | 2021.01.03 |
주식입문자를 위한 경제용어 주식용어 (0) | 2020.07.11 |
2020년 최저시급과 주휴수당 알아보자 (0) | 2020.07.03 |